프로그래밍 패러다임 간단하게 설명하면 프로그래밍 스타일을 의미하며 전체적인 프로그래밍 방식을 말한다. 프로그래머에게 프로그래밍의 관점을 갖게 해주고 결정하는 역할을 한다. 객체지향 프로그래밍(OOP)과 프로토콜지향 프로그래밍(POP)에 대해서 알아보자. 객체지향 프로그래밍(OOP) 필요한 데이터를 추상화시켜 상태와 행위를 가진 객체를 만들고 객체들 간의 유기적인 상호작용을 통해 로직을 구성하는 프로그래밍 패러다임이다. 객체 중심의 프로그래밍으로서 부모 클래스의 상속을 통하여 수직 구조로 타입을 확장하는 방식으로 다형성을 구현한다. 특징 캡슐화 데이터와 코드의 형태를 외부로부터 알 수 없게하고, 데이터의 구조와 역할, 기능을 하나의 캡슐형태로 만드는 방법 추상화 클래스들의 공통적인 특성(변수, 메소드)들을..

Merge 종류에 대해 알아보자 왜? 회사에서 PR (Pull Request)를 권장하면서 feature브랜치에서 main브랜치로 반영할 때 어떤 방식으로 merge할 지 이야기가 나왔다. 그때 merge의 3가지 종류에 대해 듣게 됐는데, 대충은 알고있지만 조금 더 볼 겸 간단하게 정리해봤다. Merge 일반 merge이다. merge 커밋을 만들고 feature 브랜치에서 커밋한 내역을 다른 가지로 남겨둔다. 트리의 모양은 아래와 같다. 파란색이 main브랜치이고, 빨간색이 feature/#1-기능1 노란색이 feature/#2-기능2 이런식으로 트리가 구성된다. main브랜치에는 merge커밋만 생긴다. 장점 어디서부터 feature브랜치가 시작됐는지, 구현하면서 어떤 커밋을 했는지 정확하게 알 수..

GIt flow와 Github flow의 차이점을 알아보자 Git-flow Branch의 종류 feature > develop > release > hotfix > master(main) 중심이 되는 브랜치는 develop 브랜치와 master(main) 브랜치이다. 대부분의 작업은 develop 브랜치에서 모아지고 테스트를 통해 버그나 수정사항이 없다면 master 브랜치로 merge 한다. 브랜치 별 특징 Feature branch 부모 가지: develop 병합 가지: develop 이름: master, develop, release, hotfix 를 제외한 자유롭게 네이밍 새로운 기능을 추가할 때 주로 사용한다. Local server (개발자의 repo)에서 사용한다. Release branch..
- Total
- Today
- Yesterday
- onTapGesture
- SwiftUI
- ObservedObject
- delegate
- MVVM
- ChatGPT
- IOS
- file private
- AWS Fargate
- rxswift
- Generic
- 의미있는이름
- 카메라
- docker
- navigation
- strcut
- Login
- frame과 bounds 차이
- enumerations
- OCR
- Swift
- Xcode
- AWS
- 곰튀김
- Custom
- Protocol
- Git
- kakao
- CodingTest
- tabview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