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wift] Generic (2) 저번 글에 이어서 제네릭에 대해서 더 알아보자 연관 타입 (Associated Types) 연관 타입은 프로토콜의 일부분으로 타입에 플레이스홀더 이름을 부여한다. 다시말해 특정 타입을 동적으로 지정해 사용할 수 있다. 연관 타입의 실 사용 (Associated Types in Action) protocol Container { associatedtype Item mutating func append(_ item: Item) var count: Int { get } subscript(i: Int) -> Item { get } } 위와 같이 associatedtype을 사용할 수 있다. 이렇게 지정하면 Item은 어떤 타입도 될 수 있다. struct IntStack: C..

제네릭에 대해서 알아보자. 제네릭은 더 유연하고 재사용 가능한 함수와 타입의 코드를 작성하는 것을 가능하게 해준다. 제네릭이 풀려고 하는 문제 func swapTwoInts(_ a: inout Int, _ b: inout Int) { let temporaryA = a a = b b = temporaryA } var someInt = 3 var anotherInt = 107 swapTwoInts(&someInt, &anotherInt) print("someInt is now \\(someInt), and anotherInt is now \\(anotherInt)") 두 Int 값을 바꾸는 함수가 있다. 두 개의 파라미터는 inout 파라미터이다. 💡 inout 파라미터는 함수 내부에서 파라미터의 값을 변경..
- Total
- Today
- Yesterday
- OCR
- Swift
- Git
- frame과 bounds 차이
- ChatGPT
- kakao
- docker
- 의미있는이름
- Login
- enumerations
- AWS
- delegate
- rxswift
- IOS
- Custom
- onTapGesture
- AWS Fargate
- Xcode
- tabview
- 카메라
- Protocol
- strcut
- ObservedObject
- 곰튀김
- CodingTest
- MVVM
- SwiftUI
- file private
- Generic
- navigation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